Dear all,

I have an error " ! Infinite glue shrinkage inserted from \skip131”
What is the meaning of this error?

Also,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stopcomponent”, the error varies.

There are many similar lines in the file.
I am sorry that I can't give a sample file which invoke the same error.

Thank you for reading.

Best regards,

Dalyoung

%%%%%%%%
putting \stopcomponent at the position (1), (2) are OK, no error.
putting \stopcomponent at the position (4) invoke the following  error.
pages           > flushing realpage 5, userpage 5
fonts           > bodyfont '24.0414pt' is defined (can better be done global)

tex error       > tex error on line 7 in file /Users/graph/Documents/Mathematics/MathModelling/MathModel2.tex: ! Infinite glue shrinkage inserted from \skip131


\handlenoteinsert ...enoteitself {#1}{#2}}\egroup 
                                                  \the \everyafternoteinsert...
l.7 }

   

\clf_flushpostponednotes ...f_flushpostponednotes 

                                                  

\flushnotes ...es \relax \clf_flushpostponednotes 
                                                  \global \setfalse \postpon...
\page_breaks_process ...the \everybeforepagebreak 
                                                  \c_page_breaks_prevpage \r...
<argument> ...t \nonoindentation \else \page [\v!preference ]
                                                  \page_otr_command_check_if...
...
l.50 \stopplacefigure

                   


 1     % !TEX root =../../Main.tex
 2     
 3     \startcomponent MathModel2
 4     \product Main
 5     
 6     \SlideTitle{미적분학}
 7 >>  \null\vfill
 8     자연과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들의 수학적 모델을 찾아낼 수만 있다면 앞으로의 변화나 예상되는 일들을 정확하게 파악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들의 정확한 수학적모델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9     대부분의 경우 어느 정도 오차를 인정하고 수학적모델을 만들 밖에 없는데 많은 경우에 미분방정식 혹은 편미분방정식으로 모델링된다. 따라서, 이를 분석하기위해서는 미적분학, 넓게는 해석학의 도움이 많이 필요하다. 대학수학에서 미적분학을 필수로 다루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10     \vfill
11     
12     \SlideTitle{개체군 증가모델}
13     \null\vfill
14     인구증가나 어떤 동물의 개체증가는 현재 존재하는 개체수가 많을수록 많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할 있다
15     , 인구가 작은 나라의 인구증가울보다 인구가 많은 나라의 인구증가율이 높을 것이라는 짐작이다. 이런 예상을 바탕으로 개체수가 $N$이고 증가율이 $r$ 개체의 시간에 따른 증가율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있다
16     \nowhitespace
17     \startformula


? x

mkiv lua stats  > used config file: selfautoparent:/texmf/web2c/texmfcnf.lua
mkiv lua stats  > used cache path: /Users/graph/ConTeXt/tex/texmf-cache/luatex-cache/context/5fe67e0bfe781ce0dde776fb1556f32e
mkiv lua stats  > resource resolver: loadtime 0.007 seconds, 0 scans with scantime 0.000 seconds, 0 shared scans, 55 found files, scanned paths: <none>



putting \stopcomponent at the position (3), (5), (6) invoke the error
…..
pages           > flushing realpage 5, userpage 5
fonts           > bodyfont '24.0414pt' is defined (can better be done global)

mtx-context     | fatal error: no return code, message: luatex: execution interrupted
Process aborted
…..

%%%%%%%% Here is a part of the text.
% !TEX root =../../Main.tex

\startcomponent MathModel2
\product Main

\SlideTitle{미적분학}
\null\vfill
자연과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들의 수학적 모델을 잘 찾아낼 수만 있다면 앞으로의 변화나 예상되는 일들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들의 정확한 수학적모델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대부분의 경우 어느 정도 오차를 인정하고 수학적모델을 만들 수 밖에 없는데 많은 경우에 미분방정식 혹은 편미분방정식으로 모델링된다. 따라서, 이를 분석하기위해서는 미적분학, 넓게는 해석학의 도움이 많이 필요하다. 대학수학에서 미적분학을 필수로 다루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vfill

\SlideTitle{개체군 증가모델}
\null\vfill
인구증가나 어떤 동물의 개체증가는 현재 존재하는 개체수가 많을수록 더 많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즉, 인구가 작은 나라의 인구증가울보다 인구가 많은 나라의 인구증가율이 높을 것이라는 짐작이다. 이런 예상을 바탕으로 개체수가 $N$이고 증가율이 $r$인 개체의 시간에 따른 증가율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nowhitespace
\startformula
{dN \over dt} = r \cdot N
\stopformula
\nbb{활동} 개체군 증가모델이 만족해야할 조건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좀 더 나은 모델링을 찾아보자.
\vfill

\SlideTitle{로지스트형 개체군 성장모델}
\null\vfill
개체군 증가 모델이 실제로는 잘 맞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이는 환경, 자원 등의 문제때문이다. 
이를 감안한 모델이 다음과 같다.
\startformula
{dN \over dt} = r \cdot N(1 - {N \over K})
\stopformula
여기서 $k$는 환경수용능력을 나타내는 수로 개체당 출생률, 개체당 사망률, 개체군 크기에 따른 개체당 출생률의 변화율, 그리고 개체군 크기에 따른 개체당 사망률의 변화율에 따라 정해지는 수이다. 
\vfill

\SlideTitle{퀘니히스베르그의 7개 다리}
%\null\vfill
\startplacefigure[location=none]
\startanimation[menu=yes]
     {\externalfigure[./MathShapes/7Bridges/konigsberg][width=.6\makeupwidth]}
     {\externalfigure[./MathShapes/7Bridges/konigsbergDots][width=.6\makeupwidth]}
     {\externalfigure[./MathShapes/7Bridges/konigsbergLines][width=.6\makeupwidth]}
     {\externalfigure[./MathShapes/7Bridges/konigsbergGraph][width=.6\makeupwidth]}
\stopanimation
\stopplacefigure
%\vfill
%%%%%%%%%%%%%%%%%%%%%%%%%%%%%\stopcomponent    (1)
\SlideTitle{지하철 지도}
\null\vfill
\startplacefigure[title={서울 지하철\footnote{네이버}}]
     {\externalfigure[./GraphBook/SubwaySeoul][width=.7\makeupwidth]}
\stopplacefigure
 \vfill
%%%%%%%%%%%%%%%%%%%%%%%%%%%%%%%\stopcomponent    (2)

\SlideTitle{길 찾 기}
\null\vfill
\startplacefigure[title={길찾기 예}]
     {\externalfigure[./graphbook/Path2][width=.8\makeupwidth]}
\stopplacefigure
 \vfill
%%%%%%%%%%%%%%%%%%%%%%%%%%%%%%%%%%%%%%%%%%%%%%%    (3)

\SlideTitle{연결하기 문제}
\null\vfill
\startplacefigure[title={전기, 개스, 상수도 연결하기}]
     {\externalfigure[./GraphBook/fig103][width=.8\makeupwidth]}
\stopplacefigure
 \vfill

%%%%%%%%%%%%%%%%%%%%%%%%%%%%%%%%%%%%%%%%%%%%%%%    (4)
\SlideTitle{그래프 모델링의 예}
\null\vfill
\startitemize
\item Dijakstra's algorithm
\item 청소차의 경로 찾기
\item 영업사원의 경로 찾기
\item 최대 물류 수송을 위한 경로 찾기
\item 고집적회로 제작
\stopitemize
\vfill

%%%%%%%%%%%%%%%%%%%%%%%%%%%%%%%%%%%%%%%%%%%%%%%    (5)

\SlideTitle{칼리닌그라드}
\null\vfill
\startplacefigure[title={Kaliningrad\footnote{Goodle 지도}}]
     {\externalfigure[./MathShapes/7Bridges/kaliningrad1][width=.7\makeupwidth]}
\stopplacefigure
 \vfill

\stopcomponent                          %%%%%%%%%%%%%%% (6)

%%%%%%%%



%%%%%%%%%%%%%%
fonts           > bodyfont ’24.0414pt’ is defined (can better be done global)

tex error       > tex error on line 7 in file /Users/graph/Documents/Mathematics/MathModelling/MathModel2.tex: ! Infinite glue shrinkage inserted from \skip131


\handlenoteinsert ...enoteitself {#1}{#2}}\egroup 
                                                  \the \everyafternoteinsert...
l.7 }
   
\clf_flushpostponednotes ...f_flushpostponednotes 
                                                  
\flushnotes ...es \relax \clf_flushpostponednotes 
                                                  \global \setfalse \postpon...
\page_breaks_process ...the \everybeforepagebreak 
                                                  \c_page_breaks_prevpage \r...
<argument> ...t \nonoindentation \else \page [\v!preference ]
                                                  \page_otr_command_check_if...
...
l.49 \stopplacefigure
                   

 1     % !TEX root =../../Main.tex
 2     
 3     \startcomponent MathModel2
 4     \product Main
 5     
 6     \SlideTitle{미적분학}
 7 >>  \null\vfill
 8     자연과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들의 수학적 모델을 잘 찾아낼 수만 있다면 앞으로의 변화나 예상되는 일들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들의 정확한 수학적모델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9     대부분의 경우 어느 정도 오차를 인정하고 수학적모델을 만들 수 밖에 없는데 많은 경우에 미분방정식 혹은 편미분방정식으로 모델링된다. 따라서, 이를 분석하기위해서는 미적분학, 넓게는 해석학의 도움이 많이 필요하다. 대학수학에서 미적분학을 필수로 다루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10     \vfill
11     
12     \SlideTitle{개체군 증가모델}
13     \null\vfill
14     인구증가나 어떤 동물의 개체증가는 현재 존재하는 개체수가 많을수록 더 많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15     즉, 인구가 작은 나라의 인구증가울보다 인구가 많은 나라의 인구증가율이 높을 것이라는 짐작이다. 이런 예상을 바탕으로 개체수가 $N$이고 증가율이 $r$인 개체의 시간에 따른 증가율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16     \nowhitespace
17     \startformula


? x
luatex warning  > pdf backend: page 6 has been referenced but does not exist

system          > structure > start used structure

used structure  > text: Main
used structure  >   environment: FontDefinition
used structure  >   environment: MyDefinitions
used structure  >   product: Main
used structure  >     component: MathModel2

system          > structure > stop used structure